리 헤이니

덤프버전 : r (♥ 0)

[ 펼치기 · 접기 ]
연관 학문
>

영양학
인물
>

세르히오 올리바

브랜든 헨드릭슨

레이먼트 에드몬즈

카이론 홀던

이준호
기반
종목
IFBB(맨즈 피지크 클래식 피지크 피규어 비키니) 미스터 올림피아 미스터코리아 미스터 서울 AGP NPC 머슬 매니아 YMCA 보디빌딩 NABBA UNF 뉴욕 프로 템파 프로 아놀드 클래식 김준호 클래식 이승철 클래식 전국체전
이론
머슬 메모리 무분할 운동 점진적 과부하 근수축 및 이완(등장성 등척성 등속성) 애프터번 강제반복 고립운동 스트렝스 트레이닝 벌크업 린매스업 반사이론 수직 계측형 이론 FFMI 글리코겐 로딩 오버트레이닝 베르그만의 법칙 볼프의 법칙
운동
핵심 구성
부위
포징규정포즈(라인업 프론트 더블 바이셉스 프론트 랫 스프레드 사이드 체스트 백 더블 바이셉스 트라이셉스 앱도미널 & 타이), 아놀드 포즈, 베큠, 문포즈, 쿼터턴
자격증
}}}


}}} ||


파일:Lee-Haney-Medal.jpg
이름리 헤이니
Lee Haney
생년월일1959년 11월 11일 (64세)
국적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미스터 올림피아8회
체격180cm / 116~120kg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여담
3. 수상 경력



1. 개요[편집]


리 헤이니는 미국의 전직 보디빌더로, 1984년부터 1991년까지 미스터 올림피아에서 8회 우승을 기록하며 로니 콜먼과 함께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불어 비 성장호르몬 시대의 마지막 왕좌이기도 하다.


2. 여담[편집]


은퇴 이후 여러가지 일을 하다 개신교 목사가 되었고 교회를 운영하고 있다. 90년대 인기 보디빌더이자 한국에서 유독 인기가 많은 리 프리스트가 성씨 덕분에 '이성직씨' 라고 불리는데 이쪽은 진짜로 직업 종교인에 목사 안수를 받고 개신교 목사로 활동하므로 이쪽이야말로 진정한 이성직씨 라고 할수 있다.

아놀드 슈워제네거보다 더 많은 우승을 했지만 대중적으로 그렇게 알려진 편은 아니다. 아놀드처럼 정치나 연예계로 진출하지 않은 것도 있지만, 리가 연속 우승을 하던 시기는 보디빌딩 역사상 제일 경쟁력이 없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우승할 만한 몸을 가진 게 리밖에 없으니 미스터 올림피아라는 대회 자체가 흥행력이 시들해진 시대라서[1] 대중에게 노출된 횟수 자체가 줄어버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수상 경력[편집]


  • 1983 미스터 올림피아 3위
  • 1983 World Pro Championships 3위
  • 1984~1991 미스터 올림피아 우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6:38:34에 나무위키 리 헤이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반대로 로니 콜먼 vs 제이 커틀러, 카이 그린 vs 필 히스의 대결 구도가 있던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2010년대는 올림피아 대회가 크게 흥행했고, 상술된 4명의 보디빌더는 큰 명성과 부를 거머쥐었다.